2024년 4월 국내 5개 완성차 업체의 해외시장 판매량이 55만 2507대로 전년 동월보다 5.0% 늘었습니다. 반면 국내시장 판매량은 11만 9104대로 전년 동월 대비 7.4% 줄었습니다. 더구나 전기차 내수 판매는 전년 동월의 절반 수준에 머물러 전기차 수요 둔화가 길어지는 모습입니다.
업체별로 보면, 현대차의 4월 내수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4.4% 감소한 6만 3733대, 기아는 3.4% 감소한 4만 7631대에 그쳤습니다. KG모빌리티는 3663대를 판매하여 34.4% 감소하였고, 한국GM은 2297대에 그쳐 무려 56.1% 감소했습니다. 반면 르노코리아는 1780대를 판매하여 전년 동월 대비 1.2% 감소에 그쳤습니다.
국내 5개 완성차 업체의 내수 판매가 일제히 전년 동월보다 감소한 것은 신차 부재 및 고금리·고물가로 인한 경기 침체가 겹친 영향으로 보입니다. 2024년 4월 국산차 모델별 판매실적 및 순위를 살펴보겠습니다.
1위 쏘렌토
기아 쏘렌토는 7865대를 판매하여 3월보다 12.4% 감소하였지만, 판매순위는 1위를 유지하였습니다. 2023년 9월 쏘렌토 하이브리드 페이스리프트가 출시된 이후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모든 트림에 대기자가 많아 생산량이 곧 판매량이 되고 있습니다. 출고 대기기간은 가솔린 모델 3개월, 하이브리드 모델 8개월 정도입니다. 상품성과 사용자 만족감이 모두 높은 차량으로 우리나라 소비자의 취향에 잘 맞춘 차량입니다. 이런 점에서 쏘렌토 인기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2024
|
1월
|
2월
|
3월
|
4월
|
판매대수
|
9284
|
8671
|
8974
|
7865
|
2위 스포티지
기아 스포티지는 7179대를 판매하여 3월 대비 6.6% 증가하였습니다. 올해 4분기 페이스리프트가 예정되어 있는데도 높은 판매량을 보이고 있습니다. 스포티지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인기있는 차량입니다. 세계 최초의 도심형 SUV 모델명으로 통하는 스포티지는 2023년 한 해 해외에서 45만 3753대가 팔려 기아 차량 가운데 가장 많이 판매되었습니다.

2024년
|
1월
|
2월
|
3월
|
4월
|
판매대수
|
5934
|
6991
|
6736
|
7179
|
3위 디 올 뉴 그랜저
현대차 디 올 뉴 그랜저는 7085대를 판매하여 3월보다 16.1% 증가하였습니다. 전년 그랜저는 월별 판매실적에서 1, 2위를 벗어난 적이 없을 정도로 인기가 있었습니다. 아산공장이 아이오닉 7 생산을 위해 생산라인을 일시 중단한 여파로 올해 1, 2월 판매량이 떨어졌으나 3월부터 생산량이 늘면서 판매량도 빠른 속도로 회복되고 있습니다. SUV가 대세인 지금도 세단을 좋아하는 소비자에게는 그랜저만큼 좋은 선택지도 없는 듯합니다.

2024년
|
1월
|
2월
|
3월
|
4월
|
판매대수
|
3635
|
3963
|
6100
|
7085
|
4위 카니발
기아 카니발은 6879대를 판매하여 3월 대비 10% 감소하였습니다. 카니발도 쏘렌토와 마찬가지로 인기가 높아 개인· 법인은 물론 다양한 소비자에게 팔리고 있습니다. 특히 하이브리드 모델은 출고까지 1년을 기다려야 하는 실정입니다. 페이스리프트로 디자인이 더 좋아져 카니발의 인기는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2024년
|
1월
|
2월
|
3월
|
4월
|
판매대수
|
7049
|
7989
|
7643
|
6879
|
5위 포터2
현대차 포터2는 6443대를 판매하여 3월보다 19.8% 감소하였습니다. 판매실적 감소는 지난 3월 일시적으로 급증하였던 일렉트릭 포터 수요가 4월 들어 급감한 데 따른 것으로 LPG 포터는 5748대가 팔려 3월 대비 9.3% 증가하였습니다. 더 이상 디젤 포터가 출시되지 않는 상황에서 연비 좋고 소음, 진동이 없는 LPG 포터가 디젤 포터를 완전히 대체한 느낌입니다. 국산 1톤 트럭에 대한 수요가 견고한 만큼 LPG 포터의 판매 호조는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일렉트릭 포터는 높은 보조금에도 불구하고 주행거리 부족과 잦은 완속 충전이 점유율 확대의 장애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024년
|
1월
|
2월
|
3월
|
4월
|
|
판매대수
|
4297
|
6355
|
8032
|
6443
|
|
|
LPG
|
4923
|
6093
|
5257
|
5748
|
일렉트릭
|
4
|
262
|
2775
|
695
|
6위 디 올 뉴 싼타페
현대차 디 올 뉴 싼타페는 5847대를 판매하여 3월보다 25.8% 감소하였습니다. 월별 판매실적도 2위에서 5위로 내려앉았는데, 하이브리드 모델 생산량이 2천대 가량 감소한데 따른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입니다. 미국 앨라배마 공장이 산타페 증산에 나서면서 물량 조정이 있었던 것 같네요. 판매량은 금방 회복되겠지만, 1위 쏘렌토를 따라잡기는 어렵겠죠.

2024년
|
1월
|
2월
|
3월
|
4월
|
판매대수
|
8014
|
7413
|
7884
|
5847
|
7위 더 뉴 아반떼
현대차 더 뉴 아반떼는 5806대를 판매하여 3월 대비 38.6% 급증하였습니다. 사회 초년생들의 첫 차로 꼽히는 아반떼는 국산차 중 가장 많이 팔린 베스트셀링 모델입니다. 아반떼 7세대 기준 가장 저렴한 스탠다드 모델은 1900만원대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경차 못지않은 뛰어난 연비도 강점이죠.

2024년
|
1월
|
2월
|
3월
|
4월
|
판매대수
|
4438
|
2292
|
4188
|
5806
|
8위 셀토스
기아 셀토스는 5025대를 판매하여 3월보다 5.8% 증가하였습니다. 디자인이 예쁜 셀토스가 소형 SUV 시장에서 대세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코나, 니로, 트랙스, 트레일블레이저, 티볼리 등 경쟁 차종을 여유 있게 따돌리고 있습니다. 올해 신모델 출시가 예상되는데, 현재 가솔린 모델뿐인 파워트레인에 하이브리드 모델이라도 추가되면 경쟁 차종과의 격차를 더 벌리게 될 것 같습니다.

월별
|
1월
|
2월
|
3월
|
4월
|
판매대수
|
3944
|
3967
|
4748
|
5025
|
9위 신형 G80
제네시스 G80은 4966대를 판매하여 3월 대비 6.3% 감소하였습니다. 제네시스 전체로는 GV80 4084대, GV70 1666대 포함 1만 1784대를 판매하였습니다. G80은 제네시스 브랜드 가운데 판매량이 가장 많은 대표 모델로 페이스리프트 후 판매가 살아나고 있습니다. G80과 G80 전동화 모델은 지난해 10월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이하 IIHS)가 발표한 충돌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톱 세이프티 픽 플러스(TSP+)' 등급을 받았습니다.

2024년
|
1월
|
2월
|
3월
|
4월
|
||
제네시스 전체
|
10,349
|
10,582
|
11,839
|
11,784
|
||
|
G80
|
3494
|
3256
|
5298
|
4966
|
10위 셀토스
현대차 스타리아는 4844대를 판매하여 3월보다 55.1% 급증하였습니다. MPV(다목적 차량) 스타리아는 7인승, 9인승, 11인승, 미니밴, 카고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특징 때문에 소비자들로부터 폭넓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파워트레인도 LPG, 디젤에 가솔린 하이브리드가 추가되면서 판매가 늘고 있습니다.

월별
|
1월
|
2월
|
3월
|
4월
|
||
판매대수
|
2996
|
2878
|
3123
|
4844
|
오늘은 2024년 4월 국산차 판매실적 및 순위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아 픽업트럭 '타스만' 디자인 및 양산 계획 (0) | 2024.05.07 |
---|---|
기아 전기차 EV6 페이스리프트 이미지 공개 (0) | 2024.05.02 |
3천만원대 기아 전기차 EV3...6월 출시 (0) | 2024.05.01 |
미 도로교통안전국, 테슬라 오토파일럿 '중대 결함' 지적 (0) | 2024.05.01 |
현대 다목적 전기차 ST1 출시...문제는 가격 (1) | 2024.04.29 |